전체 글 728

분수회 한수반(7) 분당 구미동 선배산(머내과학공원)

7월 3일(수) 분수회 한수반 네명(김덕중 남기화 조현행 홍승갑)은 구미동 머내과학공원(선배산)을 산책했습니다. 조현행 회장 식사 접대 감사합니다. 지난 6월 28일(금)에는 분수회(회장 김덕중) 회원 15명이 수내역 인근 일식집에 모여 즐거운 시간을 가졌으며 저녁회식 제공한 마성준, 정광섭 회원님들 감사드립니다. 분당구 구미동 머내과학공원은 선배산입니다. 옛날 광주부(廣州府) 소속 당시 벌판에 섬같이 생긴 산이라 하여 섬배산이라 불리던 야산이 선배산(先拜山 111m)으로, 그리고 머내과학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어 성남시 분당구민들에게 휴식장소를 제공합니다. 선배산은 동막천, 경부고속도로, 아파트가 둘러싼 섬입니다. 1636년 겨울, 남한산성의 인조를 구출하려 충청감사 정세규가 이끈 근왕군 선발대는 현재 용..

분수회 한수반 2024.07.03

龍仁旅行(253): 충현공 안홍국 장군 유허지 종합

충현공(忠顯公) 안홍국(安弘國1555~1597) 장군은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선봉장으로 활약을 하다 정유재란때 안골포해전에서 전사하십니다. 여수 충민사는 이순신 장군과 안홍국 장군, 이억기 장군 세 분만을 배향합니다. 덜 알려진 안홍국 장군의 위치를 짐작하게 합니다. 안홍국 장군의 애마(愛馬)가 장군의 관복인 철릭(天翼)을 잔등에 달고 천리 길을 달려 장군의 고향인 어비리 집 앞에서 기진해 죽습니다. 시신 없는 장군의 묘에는 장군이 평소 착용한 철릭을 모셨으며 말무덤도 만들고 충신안홍국용마비(忠臣安弘國龍馬碑)도 세웁니다. 장군의 정문(旌門 정려각), 묘소, 말무덤(용마총)은 이동읍 어비리 지근거리에 몰려있습니다. 사당인 충현사(忠顯祠)는 묘봉리에 따로 있는데 사당 뒤 주택에 거주하시던 종손이 타계하신 이..

龍仁旅行(252): 청년 김대건 길(下) 바사리고개 · 애덕고개 · 미리내 성지

경로: 장촌교~ 망덕고개~ 바래기산~ 쌍령지맥 분기점~ 바사리고개~ 애덕고개~ 미리내성지  망덕고개에서 호랑이를 만나며 위기를 넘긴 17세 소년 이민식은 김대건 신부 시신을 다시 지개에 지고 계곡 루트 장촌~거문정으로 해서 애덕고개를 넘어 미리내에 시신을 안장합니다. 저는 역으로 장촌에서 해실이 망덕고개 ~ 바래기산(發岳山 379.5m)을 오른 다음 능선 타고 바사리고개에서 애덕고개로 향합니다. 김대건 신부 시신 운구길이 아닌 전교의 길입니다. 바사리고개:이동면 묵리 병목골, 장촌, 한덕, 거문정과 원삼면 학일리 고초골에 퍼져 살던 천주교인들이 교류한 길이 바사리고개입니다. 삼덕의 고개에는 포함되지 않아 덜 알려졌지만 김대건 신부가 교우촌에 사목(司牧)하러 넘은 길이고 교우들이 끼리끼리 품앗이나 용인장,..

龍仁旅行(251): 청년 김대건 길(中) 문수봉 · 바래기산 · 망덕고개 · 해실이

구불구불 고갯길 둥그런 언덕 곱등고개(曲頓峴)에서 문수봉(文殊峰 403m)을 오릅니다. 임꺽정이 안성 칠장사 스승을 만나러 고개를 넘다 가짜 꺽정이를 혼낸 홍명희 소설의 배경일 정도로 곱등고개는 험한 곳이었습니다. 충북 괴산 출생인 벽초 홍명희 선생이 경기도 용인 땅에서 소설 배경으로 딱 맞는 곳을 찾아내셨습니다. 곱등고개 거의 정상에 버스승차장이 있어 어렵지 않게 문수봉 산행을 시작합니다. 곱등고개에서 문수봉 방향으로 은근히 진이 빠지는 언덕을 14분 오르면 용인 농촌 풍경이 발아래 펼쳐지는 용담조망(龍譚眺望) 뷰 쉼터입니다. 문수봉(文殊峰) 정상에는 은이 성지순례 대형 안내판과 불교 미술 걸작인 마애보살상(磨崖菩薩像) 방향표시가 공존합니다. 문수봉은 정맥·지맥 타는 산행인들이 한 번은 꼭 밟는 한남정..

2024년 6월 66교우회 아산 현충사

2024년 6월 5일(수)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126 입학동기회(회장 농화학과 민남규, 사무총장 행정과 김정규) 아산 현충사, 독립기념관 참배총원: 117명, 농경제과 6명 참가(권명학 김소현 남기화 문영택 박봉신 신동일)  ↓ 66학번 참석 동기 일동:농경제과 6명:현충사 성역화 사적기:홍살문 지나 현충사로 이동:충무공 이순신장군 존영:이순신 장군 고택:고택 내부:이순신 장군 활터 수령 약 570년 은행나무: 활터 방화산 능선에서 활 쏘고 말 달려:현충사 가는 길 정려각:이순신 장군 포함 4충신 1효자 정려각:충무공 이순신 장군 지려 현판:일정:

龍仁旅行(250): 청년 김대건 길(上) 은이성지 · 신덕고개 · 어둔이

경로: 은이성지 ~ 은이골 가족캠핑장 ~ 신덕고개 ~ 은이산 ~ 형제봉 ~ 보문정사 ~ 내어둔 돌무지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3리 은이성지(隱里聖地)에서 안성시 양성면 미산리 미리내성지 10,314m 구간에 있는 신덕고개, 망덕고개, 애덕고개를 하나로 부르는 이름이 '삼덕고개'로 김대건(金大建 1821-1846) 안드레아 신부가 사목활동을 위해 넘나들던 고개였고 이민식(李敏植) 빈첸시오 17세 소년이 순교한 신부님의 유해를 밤에 지개로 몰래 운구한 길입니다.  용인이 고향인 고(故)김진용 마티아님이 ‘은이’와 ‘미리내’를 잇는 마을과 계곡·능선을 따라 연결되는 길목에 험한 세 고개를 천주교의 신덕(信德), 망덕(望德), 애덕(愛德)의 의미로 명명하니 가톨릭 도보 순례길인 ‘삼덕의 길’입니다. 용인시는 ..

2024년 5월 고기동 이순신장군 조부묘 · 낙생저수지

참석 5명:남기화 신동일 이장석 이정식 이희석 용인시 수지구 호수로 24번길 39:충무공 이순신 장군 조부 풍암(楓巖) 이백록(李百祿 ?~1546) 선생 묘소.재실, 덕풍재(德楓齋) 수지구 고기동 52: 낙생저수지 경로: 대장동입구 버스정류장 ~ 이백록 선생 묘소: 편도 1.16km, 도보 24분. ↓ 대장동입구 버스 정류장 하차 고기교 통과:호수로24번길 에코리움 길 건너 진입:산들마을 차량 차단봉 통과:호수로 24번길 19-8 우틀:박영미 지승공예연구소에서 묘소 보임:덕수이공백록지묘:정부인초계변씨지묘:대장동 조망:대한민국의 미래 유치원아들:낙생저수지로 이동:낙생저수지길은 머내만세운동길:머내 만세운동길:수상골프장:대장동입구 ~ 이순신장군 조부 묘 경로:추가정보:분수회 한수반(4) 고기동 이순신장군 조부..

龍仁旅行(249): 이동저수지(Ⅴ) 이진봉 · 토운봉 · 송전

마골에서 곽장곡 약수터로 해서 이진봉(127m), 토운봉(吐雲峯 187.8m)을 올라 송전에서 산행을 마무리합니다. 지난 산행·여행기에서 소개하지 못했거나 늦게 알게 된 사항들을 보충하며 다섯 차례에 걸친 이동저수지 산행·여행기를 끝냅니다.  1397년 순흥 안씨 안이녕 선생이 입향한 이후로 강릉 김씨·청송 심씨·정주 정씨들이 정착해 대성을 이룬 정든 고향 어비울(魚肥里 魚肥洞)을 눈물로 떠나야했던 수몰민들의 한과 아려한 이야기에 공감하고 반듯한 주변 산들에 취하다 보니 한 달이 지나갔습니다.  이진봉 곽장곡(藿場谷) 약수터:약수터 뒷면을 찬찬히 살펴보니 1986년 4월 세운 비석이고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67번지’ 주소 음각이 있습니다. 전체 글자는 판독할 수 없었으며 38년 전 기립연도로 보아 무..

龍仁旅行(248): 이동저수지(Ⅳ) 토운봉 · 금당골산 · 이진봉 · 동도사

지난 5월 초 어비울 실향민 망향정에서 실향민들 모임인 용어회(龍魚會) 6대 회장 정선용(86세) 선생님을 우연히 뵙고 물안개 내릴 때 구름을 토하는 모습의 토운봉(吐雲峯 187.8m) 이름과 금당골(金堂谷 金丹谷)을 가운데 두고 토운봉과 마주하는 산이 금당골산(金堂谷山 金丹谷山 176.2m) 이라는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동도사 홈페이지는 ‘금당골 정상에 세워졌던 금단사(金丹寺)가 임진왜란 때 왜병들이 불태워 산 정상에서 수몰지역인 원어비리로 굴리어져 동리주민들에 의해 복원, 대대손손 이어진 주민들의 정신적 의지였으며 기도처였다’라고 동도사 전신인 금단사를 소개합니다. 금단사 골짜기 금단골이 금당골로 변화했다고 봅니다. 용인문화원부설 향토문화연구소에서 2008년 발행한 남사면지(南四面誌) 156쪽에는 ‘..

龍仁旅行(247): 이동저수지(Ⅲ) 이진봉 · 토운봉 · 금당골산 · 부채산 · 어비울 실향민 망향정

경로: 마골~ 이진봉(뾰죽산 127m)~ 수변 데크쉼터~ 호랑바위~ 토운봉(178m)~ 금당골산(176.2m)~ 어비리고개~ 강릉김씨 참판공파 묘역~ 부채산(117m)~ 수역~ 어비울 실향민 망향정 · 어비울비각 이동읍 어비리(漁肥理)는 어비울(魚肥洞 어비동 어비촌 원어비동), 수역(壽域)마을, 방목동(放木洞), 점말(店村 점촌), 곽터(郭基 곽기), 장율(長栗 긴배미)의 여러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경기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이동저수지가 어비리에 생기면서 어비울(어비동)은 수몰(水沒)돼 통째로 사라집니다. 그 이외 마을들은 일부가 남아 지명이 현존합니다. 지역민들은 옛날부터 내려오는 마을 이름들에 큰 애착을 갖고 있습니다.  1397년 순흥 안씨 안이녕이 입향한 이후로 강릉 김씨, 청송 심씨, 정..

龍仁旅行(246): 이동저수지(Ⅱ) 거북산 · 이진봉 · 금당골산 · 토운봉(뒷동산)

경로:수역교~ 거북산~ 이진봉~ 금당골산~ 토운봉(뒷동산)~ 수역교 회귀~ 방목정~ 어비울 비각 거북산(78m)과 이진봉(뾰죽봉 127m), 은아봉(토운봉, 뒷동산 187.8m)을 올랐습니다. 거북이 기어가는 모습의 거북산 이름 유래는 산 모양으로 쉽게 이해가 됐으나 이진봉, 은아봉 이름들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냥 그런 데로 오늘 산행한 산들 원경(遠景) 사진이나 잘 담을 요량으로 어비울 비각(원어비동유적영세불망비)에 들렸다 용어회(龍魚會) 6대회장 정선용(86세) 선생님을 만난건 행운이었습니다.  이동저수지 완공으로 수몰된 370여 호, 2351명 실향민들이 1981년 용어회를 조직한 이후로 원어비동유적영세불망비(元魚肥洞遺跡永世不忘碑) 비각을 단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찾아 고향을 바라보며 향수를 달..

龍仁旅行(245): 이동저수지(Ⅰ) 갈마산 · 검은산 · 어비울 비각

이동저수지 어비낙조(魚肥落照)는 용인시 선정 제8경입니다. 어비리를 지나던 큰 내에 제방을 쌓아 2351명의 실향민 아픔을 담은 경기도 제1 저수지를 조성하니 조상님들이 이름 지은 그  대로 고기가 살찌는 어비리(魚肥里)가 되었습니다. 저수지가 평면으로 보이는 어비1리 버스정류장 방목마을 방목정 전망 데크는 어비낙조 촬영명소입니다. 동도사(同度寺) 뒤 갈마산(渴馬山 226.2m)을 오르면 송전리에서 어비리 까지 펼쳐지는 광활한 수면을 눈 아래 깔고 감상합니다. 지난 몇 달 동안 이동저수지 인근의 달봉산, 삼봉산, 시궁산, 갈미봉, 뒷동산, 묘봉, 장자봉, 빈양산, 충현공 안홍국 장군 묘소를 오르내리며 이동저수지를 덤으로 조각 감상했지만 갈마산에서 조망은 완전하고 압도적입니다. 일부 산행인들이 KBS 중계..

분수회 한수반(4) 고기동 이순신장군 조부 묘

참석 12명: 김덕중 남기화 남기현 민중식 박윤식 신승희 신종태 안준세 이경순 이성웅 임우빈 홍승갑 식사 이경순, 커피 박윤식 형들 제공 감사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손허산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 조부인 풍암(楓巖) 이백록(李百祿 ?~1546) 선생의 묘소와 제실인 덕풍재(德楓齋)가 있습니다. 관악구 봉천동 덕수 이씨 선산을 마다하고 용인 고기동에 모신 이유를 덕수 이씨 문중에서는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 선생과 연관지어 설명합니다. 정암이 기묘사화(1519)로 죽음을 맞자 선생을 흠모한 풍암(楓巖)이 조광조 묘와 가까운 곳으로 낙향했다는 설입니다. 재실 덕풍재(德楓齋)는 덕수 이씨(德水 李氏)와 선생의 호 풍암(楓巖) 첫 자에서 따왔습니다.  1545년 한성부 건천동(현재 서울 중구..

분수회 한수반 2024.05.01

龍仁旅行(244): 안홍국 장군 말무덤 · 빈양산

눈을 무릎 뜬 성난 표정의 무인석 한 쌍이 충현공 안홍국(명종 10년~선조 30) 장군의 묘소를 지킵니다. 정유재란 해상 전투 중에 장군이 전사 하실 때 표정을 재현 했습니다. 장군은 “적탄을 맞고 전사한 뒤에도 생시처럼 눈을 부릅뜨고 노여운 안색을 풀지 않았다. 온 몸과 표정이 당당하여 살아있을 때와 같았다.“라고 전합니다. 강현 충현공기 재인용> 공의 묘소에서 바라보는 이동 저수지 풍광은 아름답습니다. 장군이 어릴 때 동무들과 뛰어 놀던 개울도 모래밭도 마을도 모두 이동저수지를 조성하며 잠겼습니다. 일제 시절 조성한 신작로도 수몰될 정도니 충현공이 살아 계실 때 어비리 풍광은 지금 보다 더 아름다웠다고 단정합니다. 장군 묘소 옆 빈양산(賓陽山 143m)에서도 이동저수지 풍광은 아름답습니다. 밝음을 공..

2024년 4월 고기동 이종무장군 묘 탐방

02 2024. 04. 18(목) 농경제과 입학 동기 7명: 권명학 김대환 남기화 박봉신 신동일 이정식 이희석 일반적으로는 광교산(582m 시루봉) 아래 이종무(李從茂 1360~1425) 장군 묘가 소재한다고들 이해합니다. 정확히는 산봉우리를 깍아 송신소가 들어서며 이름조차 잊힌 험마산(驗摩山 529m) 산골짝 아래에 모셔져있습니다. 광교산, 험마산, 백운산은 연봉을 이룹니다. 7년 만에 대학친구들과 재탐방인데 제실도 깔끔하게 건립했고 종전에는 가정집 앞마당을 통해 묘소를 출입해 옹색했었는데 출입로도 제대로 갖춰져 있으니 용인시와 문중을 칭찬합니다. 이종무장군 묘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묘소 까지 편도 0.87km, 약15분 도보 거리입니다. 위치 검색은 이종무 장군 묘 주소인 ‘수지구 고기동 산 79’로 ..

분수회 한수반(3) 수지구 손허산 공원

2024. 04월 17일 경로: 동천역 2번출구 ~ 손곡천 ~ 손허산공원 10명: 김기수 김덕중 남기화 남기현 민중식 박윤식 신종태 이성웅 이충용 홍승갑 ↓ 출발! 동천역 2번 출구: 손곡천 동천동 수로교 살펴보는 신종태형: 동천동 수로교: 석성산, 법화산 배경 손허산 공원 오름: 손허산 공원: 58회 사진작가 김기수형: 꽃보다 (마음은 청춘) 홍승갑형! 손허산 공원: 민중식, 박윤식 형들 합류:

분수회 한수반 2024.04.17

龍仁旅行(243): 묘봉 · 장자봉 · 용인 평온의 숲

묘봉리 중리 저수지 제방 아래 개울을 건너 묘봉(228.6m)을 올라 용인 ‘평온의 숲’ 입구에 위치한 송전탑 장자봉( 長子峰, 長者峰 175m), 삼각점봉(162m)을 거쳐 안성시 양성면 난실리와 경계를 이루며 용인시 어비리 자연마을의 하나인 장율(長栗)로 하산합니다.  묘봉(卯峰):평택임씨 중시조인 임인산(林仁山) 선생의 묘표(묘봉리 산58)에 묘봉(妙蜂)으로 적혀 있습니다. 묘봉리 마을 중심으로 볼 때 동쪽 방향을 뜻하는 묘봉(卯峰)이라거나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의 봉우리가 토끼 모양으로 생겼다고 ‘토끼 묘(卯)’. 묘봉(卯峰)으로 변했다는 설들도 있습니다.  장자봉(長子峰, 長者峰):부안 장씨(扶安 張氏)가 무리를 지어 살면서 마을을 장서리, 뒷산 이름을 장자봉이라 불렀다 합니다(이인영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