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 684

龍仁旅行(205): 손허산·광교산 연계산행점 광교산체육공원

손허산은 광교산 제1봉 시루봉이 고기동·동천동 경계로 내려오다 낙생저수지(고기저수지)를 둘러싸며 멈춘 낮은 봉우리 입니다. 전망대에서는 낙생저수지 넘어 응달산, 태봉산, 바라산, 발화산, 청계산이 더 멀리는 남한산성까지 볼 수 있습니다. 산봉우리만 조망하는 게 아니라 발아래로 동막천 물길 모인 낙생저수지가 푸른 물빛 보여주니 마음을 편안하게 만듭니다. 물이 없으면 손허산은 그저 그런 봉우리 일터인데 낙생저수지와 어울려 아담한 진산진수향(眞山眞水鄕)을 빚었습니다. 손허산(遜墟山 297m) 하나 만으로도 일품 산행이지만 더 걷고 싶은 분들은 손허산 한쪽 끝, 말구리고개로 내려와 광교산 연계산행을 계속 할 수 있습니다. 말구리고개에서 고기리 방향 160m 지점, 또는 640m 거리인 광교산체육공원에서 광교산 ..

龍仁旅行(204): 해실이 · 망덕고개 · 굴암산 · 예직마을

호동(虎洞) 해실이陽谷 → 해실리 海實里(발음대로 한자 차음)>는 아침 해가 일찍 뜨는 마을입니다. 2011년 고교, 대학친구들과 삼덕의 길을 걸은 이후 자연이 보존된 분위기가 좋아 몇 년에 한 번 씩 찾아오다 마지막으로 찾은 게 5년 전이었는데 마을 분위기도 망덕고개로 향하는 길도 확 변했습니다. 지난 밤 내린 눈 탓은 아닙니다. 아련한 향수를 자극하던 산 다랑이 논도 밭도, 물 졸졸 흐르던 작은 개울 오솔길 모두 세종~포천 고속도로 공사로 없어졌습니다. 눈 길 치고 오르니 용인출신 마티아 고김진용 선생이 세운 망덕고개(해실이 고개) 비만 여전합니다.  신덕(은이고개)·망덕(해실이고개)·애덕(오두재) 고개를 넘는 천주교 순례길 중간이 망덕고개입니다. 전용인시장이 청년김대건의 길로 포장을 바꿨는데 손을 ..

南楊州旅行(27): 철마산

경로: 진접역~ 목표봉~ 가마솥봉~ 철마산~ 쇠푼이고개~ 가마솥골~ 금곡1리 전철4호선 진접선이 개통되며 접근이 쉬어진 철마산(711m)은 기존의 천마산 ~ 주금산 종주산행의 중간 봉우리 정도 인식을 넘어 단독 산행지로 뜨고 있습니다. 남양주시 진접읍, 오남읍, 수동면에 걸친 산으로 철마가 있어 마을사람들은 철마산(鐵馬山)이라고 불러왔다 합니다. 진접역2번 출구로부터 약200m 해참공원입구에서 철마산 산행을 시작해 목표봉(440m)을 먼저 오릅니다. 해참(해안, 해가 질 때까지의 시간)공원을 비롯해 해밀(비가 온 뒤 갠 맑은 하늘)마을, 해밀파출소 등등 순수한 한글 이름을 즐겨 사용하는 동네입니다. 진접읍에는 주시경, 최현배 선생 등 한글 연구에 큰 역할을 하신 한글학자들의 묘소가 있습니다. 목표봉에서 ..

龍仁旅行(203): 성지바위산 · 바지산 · 도리산

경로: 동천동손골~ 소말구리고개~ 성지바위산~ 도마치고개~ 바지산~ 서수지IC~ 도리산~ 성복2로 소말구리고개(小轉馬峴): 병인박해(1866 고종3년) 때 동천동 손골성지에서 체포한 천주교인들을 압송한 고개로 동천동과 신봉동 경계입니다. 동천동쪽에 옛 고개 모습 원형이 남아있습니다. 성지바위산(265m): 성지바위산 이름은 손골성지 관련해서가 아니라 산촌 마을의 농업문화에서 비롯합니다. 손골(동천동) 사람들은 큰 바위를 보고 종자 보관하던 성주항아리를 연상해 성주바위(변음→ 성지바위)로, 반대편 지봉골(신봉동) 사람들은 곡식 가는 맷돌바위로 불렀습니다. 맷돌바위쉼터 이름의 정자 뒤에 안평님 산행띠가 있습니다. 도마치고개(道馬峙): 성지바위산에서 신봉자율방범대 콘테이너 사무실로 하산해 신봉동에서 성복동으로..

南楊州旅行(26): 2022년 겨울 천마산

광주산맥이 남양주시에서 우뚝 솟아오른 천마산(天摩山 812.4m)은 주변 어디서나 장엄히 보입니다. 축령산(祝靈山 879m)이 더 높아도 경춘가도에서 근접성이나 주변에 증가하는 아파트단지 주민들의 접근성으로 보아 남양주시 진산은 천마산입니다. 전철을 이용한 대중교통으로는 1)평내호평역 1번 출구에서 165번 버스를 탑승 약14분 후 수진사입구에서 하차해 산행 시작하거나 2)천마산역에서 3번 출구로 나와 큰 길(묵현로25번 길)을 건너 좌측으로 가면 바로 등산로 입구입니다(천마산역~등산로 입구 계수기 340m). 수진사입구에서 시작하는 코스나 천마산역에서 출발하거나 거리는 비슷하고 이정표가 촘촘해 초행자도 길 찾는 어려움은 없습니다. 천마산은 흙산이지만 정상 부위는 유명한 꺽정바위로 시작하는 암봉지대 이기..

龍仁旅行(202): 무봉산 · 사리틔 공소 · 백운학 묘 · 함봉산

봉황이 춤춘다는 무봉산(舞鳳山 360.2m) 아래 서리 상반 마을에는 천주교 사리틔 공소(용시 처인구 이동면 서리 518-1)가 있습니다. 1791년 신해박해로 체포된 권일신이 선종하자 그의 자손들과 교우들이 피신해 살던 마을입니다. 섵밭탱이(石田)가 상반(上盤)으로 변했고 사리틔 또는 사리티(사리치 간치 間峙)가 의미하듯 오지중의 오지 마을이었습니다. 관리가 빈약해 보이는 가톨릭 사리틔 공소 이웃 집 주인을 만나 대화를 나누며 여러 정보를 얻었습니다. 상반 토박이인 어르신 말씀에 의하면 동탄과 서리 ‘사이 고개’라는 뜻의 무봉산 사리티는 딱 한 곳이 아니라고 합니다. 가톨릭 신부가 포졸에게 잡혀가며 피 흘린 신부고개(붉은고개)는 상반마을 들어오기 전 좌측으로 깊숙히 들어간 골짜기 끝이라고 알려줍니다. ..

近畿旅行(120): 상현역 신대호수 말무덤산

용인 신대호수(신대저수지)와 수원 원천호수(원천저수지)로 구성된 광교호수공원 말무덤산(74m)을 고교 친구들과 찾았습니다. 신대호수(신대저수지) 하늘 전망대가 말무덤산(74m)입니다. 신분당선 상현역 2번 출구에서 신대저수지를 돌아 말무덤산까지 약2.5km거리 입니다. '신대저수지는 하리(하동) 윗방죽이라고도 부른다. 신대저수지의 유래는 이 저수지를 막기(1927년) 전 이곳에 새터말이라는 마을이름을 따서 부르게 된것이다.' (2005년 이석순 수지향토문화답사기 289쪽 요약 빌췌) ‘말무더미산 _ 이곳의 말무덤은 전쟁터에서 장군이 전사하자 장군의 유품을 전한 뒤에 기진하여 죽어 묻은 것이라는 것이다. 그 시대나 장군의 이름은 전하지 않으며 충마(忠馬)의 무덤까지도 얼마 전에 도굴 당했다고 한다.’ 요약..

龍仁旅行(201): 상덕저수지 · 무봉산

이동읍 서리 상덕저수지 뒤 싱글벙글 2캠핑장 입구 임도 초입에서 무봉산(舞鳳山 360.2m) 산행을 시작합니다. 한 때 고구마싹으로 유명했던 상덕마을에서 수리(水利)를 위해 장철상 선생 주도로 1968년 완공된 상덕저수지는 낚시터, 식당, 캠핑장, 커피숖 영업에 자연환경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송전철탑 따라 무봉산 줄기를 올라 아흔아홉고개(99고개)에 도착합니다. 숯, 키운 고구마싹 같은 산골 특산물 값을 잘 쳐준 오산장으로 걸어간 서리 사람들은 아흔아홉고개(99고개)를 넘어 다녔다고 합니다. *출처_ 용인문화원 용인향토문화연구소 2007년 발행 이동면지. 아흔아홉고개란 이름은 실제보다는 구비구비 높은 고개의 상징성 지명으로 보입니다. 99고개에서 직접 하산 할까 했는데 가팔라 낙상이 우려되고 최근에 사..

龍仁旅行(200): 번암 채제공 묘 · 돌봉산 · 햇골

조선 후기 명재상 번암 채제공 선생의 묘와 임진왜란 때 격전지인 햇골을 품은 돌봉산(突峰山 뾰족산 239m)은 처인구 김량장동의 상징입니다. 이제학(전 용인일보 기자, 시인) 선생은 저서인 아름다운 용인의 산하(2009년)에서 ‘채제공 묘소, 햇골이 있고 돌봉치, 햇골입구 산, 구성말 뒷산을 포함한 용인시내 북쪽 산릉이 학산이다.’라고 소개하십니다(74쪽 요약 발췌). 이처럼  돌봉산은 용인 시내 김량장동을 감싼 학산(鶴山)의 일부인데 언제 부터인지 돌봉산으로 만 불려지고 있습니다. 학의 벼슬처럼 생긴 돌봉치(石峰峙 178m 김량장동 산1-1) 바위가 유명해 학산이란 산명을 압도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치(峙)자가 붙고 임진왜란 격전지 햇골 입구인 위치로 보아 돌봉치는 과거 김량장동과 유림동을 이은 고개..

龍仁旅行(199): 한숲시티에서 병봉산, 함봉산

남사애향가(南四愛鄕歌)는 ‘함봉산 높은 봉’으로 시작합니다. 함봉산(咸峰山) 줄기 아래 대단위 아파트 한숲시티가 들어서며 전통마을이 사라져 아쉽지만 남사면민들이 오산 학교 다니고 오산 장보러 다닌 산길은 산행로로 변했습니다. 과거 남사 생활권은 오산이었습니다.  대표적인 산행로가 어제 걸은 한숲시티 5단지 남사도서관 기점으로 어산(215.1m) ~ 십자봉(238.8m) ~ 효제봉(244m) ~ 병봉산(245m) ~ 함봉산(306.3m)로 이어지는 U자형 산책성 산행로입니다. 고만고만한 봉우리들은 완벽한 흙산들로 예쁘고 고운 오솔길을 이어줍니다.  ‘전설에 의하면 함봉산 봉우리에 올라 기도하고 산 아래 약수를 마시면 한이 풀린다는 한봉산에서 세월이 흐르며 함봉산으로 불린다.’라고 처인구청 홈페이지는 소개합..

龍仁旅行(198): 국난 극복의 성터 처인성

처인성(處仁城) 경기도 기념물 제44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아곡리 산43 (아곡리 입구) 1232년(고려 고종 19) 승장 김윤후(金允侯)가 처인 부곡의 주민들과 함께 몽골 원수 살리타이(撒禮塔 눈 쌓인 봉우리)를 사살한 국난 극복의 성터입니다. 용인시 남사읍(南四邑) 아곡리(衙谷里) 마을 입구 구릉(고도 71m) 자연 경사면 따라 축조한 5~6m 토성으로 마름모꼴 '성벽 외곽 둘레 산책로'를 한 바퀴 걸어보니 550m로 9분 소요됐습니다. 처인성 옆 용인처인성 역사교육관에서는 처인성 전투를 영상으로 보여줍니다. 은퇴교사로 보이는 여성 해설사가 열성적으로 안내해줍니다. 일을 즐기는 분이라는 느낌입니다. 가까운 산행지로 완장리 십자봉(238m), 두리봉(193m)을 추천하십니다. 용인한숲시티 뒷산..

龍仁旅行(197): 손허산, 안산(치마산), 손골 성지

가볍게 걷고 싶을 때, 그야말로 예쁜 산길을 걷고 아름다운 호수가 내려가 보이는 곳을 가고 싶을 때, 즐겨 찾는 곳은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손언산(遜堰山)으로 나오는 수지구 동천동과 고기동에 걸친 손허산(遜墟山 297m)과 안산(치마산 272.7m)입니다. 안산에서 말구리고개(轉馬峴 225m)로 내려와 손골 성지(수지구 동천로 437번 길)를 목적지로 합니다. 손골 성지(蓀谷 聖地)의 ‘손’은 향기 나는 풀의 뜻을 가진 손(蓀)자로 향기 나는 골짜기, 손허산(遜墟山)의 ‘손’은 착한 ‘손’자로 착한 사람들 사는 터전을 뜻합니다. 광교산 가톨릭 손골성지 관련 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면서도 그동안 간과했던 사실을 하나 찾았습니다. 고종2년(1865) 조선에 입국하여 손골(蓀谷)에서 선교 활동을 벌이다..

關東旅行(20): 설악산 공룡능선

1992년 11월 1박2일 일행: 사내 등산회 코스: 설악동~ 비선대~ 금강문~ 마등령 삼거리~ 공룡능선~ 무너미 고개~ 양폭산장~ 비선대~ 설악동 우리나라 국립공원 제1경으로 미국 CNN이 2012년 한국에서 꼭 가봐야 할 아름다운 50곳으로 꼽은 설악산 공룡능선(恐龍稜線)은 이제는 실버세대인 본인에게는 다시는 갈 수 없는 곳입니다. 무모하게 도전했다가는 무릎·발목 돌이 킬 수 없는 치명상을 당할 것이 훤하니 옛 사진 꺼내 추억을 더듬어 봅니다. 서울서 늦게 출발해 비선대 산장(식당 민박)에서 1박 하고 다음날 해뜨기 전 일찍 출발해 금강문으로해서 마등령(1260m), 마등령 삼거리(1224m)를 올라 공룡능선에 늘어선 나한봉(1297.4m), 큰새봉(1278m), 1275m봉, 천화대(1171m), ..

近畿旅行(119): 도봉산 신선대

자운봉(739.5m) 다음으로 높지만 도봉산 정상 역할을 하는 산은 암벽등반(Rock Climbing) 아닌 산행(Hill Hiking)으로 오를 수 있는 신선대(신선봉 726m)입니다.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 자운봉(739.5m), 만장봉(718m), 선인봉(708m)을 신선대에서 한 눈으로 감상하고 내려오며 뿌듯해하는 금발머리 외국인 여성을 보며 세계적으로 드문 도심공원을 실감합니다. 신선대 암반 부분 산행 등산로는 물론, 정상 역시 협소하고 위험해 철책이 둥그렇게 둘러쳐져있습니다. 주말에는 정상을 찾는 많은 등산객들이 오르고 내려 정체를 빚고 정상에서는 정상목 배경으로 인증사진 찍느라 붐빈다는데 주중이고 비교적 일찍 올라서인지 커피 한잔 하는 여유 부리다 작별을 고합니다. 실버세대에 돌길 신선대 등산..

關東旅行(19): 한계령 서북능선 대청봉

2008년 10월 09일 ~ 10일 1박 2일 코스: 한계령~ 서북능선~ 대청봉~ 희운각 대피소~ 설악동 산행시간·거리: 기록 없음 k대 양우회·농경66 합동(일부 회원 부인 동반) 회원들과 상의 한 결과 남설악 오색 출발은 대청봉을 오르는 가장 빠른 코스이지만 경사도가 급해 부인들에게는 무리라고 판단, 해발 1,004m에 위치한 고갯마루 한계령을 출발하는 서북능선 코스를 택했습니다. 한계령 휴게소에서 이른 점심을 마치고 휴게소 옆 계단을 올라 한계령 탐방지원센터 입산통제소를 통과하니 하절기 입산 마감 시간인 12시 직전입니다. 용대리~ 백담사~ 봉정암~ 대청봉 코스 보다는 짧지만 오르막과 돌길이 이어져 부인들에게는 쉽지 않습니다. 쾌청한 날씨 아래 단풍을 감상하며 가다 쉬다 커피 한잔하고 간식으로 에너..

濟州旅行(3): 한라산

우리나라 최고봉인 한라산(漢拏山 1950.1m)을 다시 한 번 올라 산행기를 쓰고 싶었으나 체력등 여의치 못해 1991년 11월 사우들과 등반한 사진을 보고 기억을 더듬어 31년 전 일정을 정리합니다. 새벽 일찍 성판악에서 출발해 관음사 지구로 하산한 코스로 비가 슬슬 나리고 강한 바람 속에 한라산 정상으로 오르는 길은 길고 지루했었습니다. 백록담에 물이 거의 없어 실망했습니다. 사진으로 보면 거기가 거기 같은 비슷비슷 삭막한 분위기인데 다행히 사진에 날짜가 있어 위치를 회상 할 수 있었습니다. 일정: 1991.11.07 ~ 1991.11.09 2박 3일 11.07 오후 캐세이패시픽 김포공항 지사 집합 김포~제주 대한항공 11.08 한라산 산행(시간·거리 기록 없음) 성판악 ~ 백록담 정상 ~ 관음사 지..

南楊州旅行(25): 수락산

도봉산과 마주 바라보며 불암산 북방에 있는 수락산(水落山 638m)은 서울 노원구·의정부시·남양주시 세 곳에 걸칩니다. 의정부시 장암역에서 노강서원, 석림사 계곡에서 수락산 주봉을 올라 남양주시 수락산장, 내원암을 거쳐 청학계곡 수락산 마당바위입구에서 멈춥니다. 거친 돌길 걸으며 산행객들 안전을 위해 등산로 세심하게 보수 유지하는 의정부시와 남양주시, 그리고 관계 공무원들에게 감사한 마음입니다. 수락산 산행을 마치고 능선 좌우로 갈라 의정부시 소속 서편(西便)은 신권(臣權)의 길, 남양주시 관할 동편(東便)은 왕권(王權)의 길로 구분해보았습니다. 수락산 서편 의정부시 장암역에서 노강서원(鷺江書院)을 만납니다. 숙종 때 문신 박태보(朴泰輔)의 충절과 덕행을 기리기 위한 서원으로 노강(鷺江)은 노량진 앞 한..

近畿旅行(118): 유명산

1993년 7월 뜨거운 여름, 사우들과 가평군 유명산(862m)을 올랐습니다. 기억에 남아있는 것은 가뭄으로 거의 마른 개천을 건너 산행 시작 한 것과 정상에 쌓인 돌더미, 그리고 함께 산행한 활달한 성격의 J양이 원래 마유산(馬遊山)으로 불린 산이 여성산악인 진유명씨 이름을 따서 유명산으로 알려지게 됐다는 설명 정도입니다. 산행 시간·거리 기록은 없고 코스는 유명산자연휴양림 ~ 정상 ~ 유명산자연휴양림 회귀였습니다. 그 당시 교통은 가평군 설악터미널에 도착해서 버스를 환승했는데, 대중교통을 이용해 다시 간다면 이젠 쉽게 잠실역이나 청량리역에서 출발하는 광역버스를 이용하겠습니다. 1) 잠실역 롯데월드 정류장 7002번 ~ 유명산종점 정류장(1시간 13분) 2) 청량리역환승센터 1번 승강장 8005번 ~ ..

南楊州旅行(24): 불암산

남양주시 별내신도시 진산인 불암산(佛巖山 509.7m)은 완벽한 돌산으로 노원구와 경계를 이룹니다. 왕년에 태릉선수촌에 입촌한 국가대표 선수들이 매일 아침 돌너덜길 달려 불암산 정상을 오르내리며 심신을 수련, 올림픽 금은메달을 획득한 사실은 모두 다 아는 팩트입니다. 이태조의 강한 요구로 동구릉 묘 터를 주을곡 묘 터(남재공원)와 맞교환한 충경공(忠景公) 남재(南在)께서 불암산에서 뿜어 나오는 강한 기운이 후손에 미칠 영향을 걱정하셨다는 풍수 설화도 있습니다. 26세 나이에 음모로 희생당한 남이(南怡) 장군이 충경공의 직계 후손입니다. 주을곡·남재공원에서 버스로 이동해 불암동에서 걷기 시작합니다. 초입에서 불암천 따라 불암사 입구까지 가톨릭·기독교·불교 3대 종교 시설의 연속을 보며 불암산 강한 영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