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湖西旅行

湖西여행(34): 웅천읍 수부국민학교

맑은공기n 2025. 3. 22. 11:56

장항성 웅천역 새 역사를 나와 웅천천(熊川川)과 그 지천인 수부천(水芙川) 뚝방을 따라 수부리(水芙里)로 향합니다. 위만 조선에게 나라를 뺏긴 고조선(古朝鮮) 준왕(準王)이 배를 타고 남하해 들어온 내()라는 전설의 웅천천(곰내)은 고려말 왜구가 서해바다에서 물길 따라 노략질을 벌인 침략로이기도 합니다.

 

웅천역에서 부여군 외산 방면으로 약 6km 들어가면 잔미산(417m) 아래 수부삼리(水芙三里)와 이제는 폐교가 된 수부국민학교(웅천읍 만수로 377)가 있습니다. 1940년대 말 김장원(金長元) 선생이 족제 김인원(金仁元 김명기 부친)등 유지들과 협의해 웅천초등학교 수부분교를 설립, 수부국민학교로 승격했으나 농촌인구 감소로 1999년 웅천초등학교로 통폐합됩니다.

 

검정고시로 K대 농경제학과에 입학했다 56년 전인 3학년 겨울방학 농장 실습 때 불의의 조난 사고로 일찍 세상을 떠난 내 친구 김명기(金明冀)군이 다닌 학교가 수부국민학교입니다. 명석했던 친구의 애석한 죽음과 폐교가 된 친구의 모교 처지가 겹쳐 성묘 올 때마다 쓸쓸했었습니다. 2년 만에 다시 찾은 폐교는 석재공장으로 변했습니다.

 

아동들을 교육해 인재로 키우는 교육현장에서 돌을 가공해 혼을 불어넣는 마당으로 변신, 석재산업 중심인 웅천 경제에 보탬이 되는 공간입니다. 다듬는 대상이 사람과 돌()의 차이일 뿐 땅의 쓰임새는 묘하게도 같습니다. 친구의 모교이자 오영교 ()행정자치부 장관, 김태흠 ()충남도지사를 배출한 폐교(廢校)에서 다른 형태로 부활하는 느낌입니다.

 

교사 건물과 사택이 퇴락한데로 남아있고 교훈 명심정행(明心正行)을 음각한 남포 오석 비석이 옛 정문을 알려줍니다. 정문보다 집과 가까워 친구가 학교 다닐 때 출입한 후문 옆 느티나무와 미루나무는 여전히 굳건히 자라고 있습니다. 후문에서 수부3리 농촌마을 전경과 친구의 옛집, 그리고 영면하고 있는 묘소 방향이 오롯이 보입니다.

 

웅천읍 및 인근 명소:

무창포 해수욕장_ 웅천읍 관당리

웅천천_ 1987년 한국의 명수(名水) 선정. 2024년 서해권역 최초 국가 하천

웅천임도공장_ 110여년 역사. 웅천읍 대창8리 임도정 공장

만수산(萬壽山 498.7m 부여군 외산면)_ 매월당 김시습 입적 무량사(無量寺)

성주산(聖住山 677m 보령시 성주면)_ 석탄박물관 자연휴양림

양각산(羊角山 411.5m 보령시 미산면)_ 보령호 보령댐 통나무휴게소 출발

운봉산(雲峯山 성뫼산 337.3m)_ 웅천읍 대창초등학교 출발

잔미산(殘尾山 잣뫼산 416.8m)_ 사단복지법인 이야기 마을(수부리 697-1) 출발

화락산(208m)_ 웅천 돌문화공원(구장터3102)

 

↓ 웅천역 새역사: 

무창포 신비의 바닷길 형상 조형물:

웅천읍 곰내 희망키움센터:

웅천 전통시장:

웅천읍에서 수부3리 방향(빨강 방점)으로:

웅천천 뚝방 따라 수부3리로:

수부3리 사단복지법인 이야기 마을 방향:

명기 묘 진입(잔미산 등산은 이야기마을에서 시작 가능):

명기 묘:

 

명기 재언 일주기 추모 표지석:

수부3리 명기 옛집에 들러: 

명기 수부초등학교 통학 길: 

수부초등학교(국민학교) 후문 도착:

수부초등학교 후문:

운동회 때 그늘 만든 느티나무: 

후문 느티나무에서 뒤 돌아 본 잔미산 아래 명기 집(빨강 화살표 좌)과 묘소 방향(우):

폐교 풍경:

세종대왕 동상:

이순신 장군 동상:

충무공 이순신 장군 동판:

한산섬 달 밝은 밤에...

폐교후 한 때 오토캠핑장으로 사용:

수부초등학교 정문 표식:

정문과 교훈 비석:

교훈 명심정행(바음을 밝고 행동은 바르게):

뒷면 수부국민학교 음각은 마모되고 있어: 

정문은 만수로 변에 위치:

 

수부초등학교 앞 버스 시간표(웅천읍 방향):

무량사 외산 방향 버스 시간표: 

카카오맵 위치도:

(신)웅천역은 (구)웅천역에서 700m:

구웅천역 좌측으로:

대창5리 마을비에서 직진, 웅천고등학교 뒤에 새 웅천역. 크게 번청하라는 뜻 마을 이름 대창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