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龍仁旅行

龍仁旅行(263): 검드레산의 명동 코스모스 백화점 정규성 회장

맑은공기n 2025. 2. 16. 17:18

수지구 검드레산(건드레산 260.1m)은 재미있는 산 이름 유래에 더해 아홉사리고개, 고인돌, 여흥민씨사패정계(驪興閔氏賜牌定界) 표지석, 충정공 민영환 선생 초장지, 백화점업계 거목 무아(無我) 정규성(丁奎成) 선생 묘터 등 알면 알수록 흥미로운 일화를 간직한 산입니다.

 

옛 용인군 시절 외진 산골 마을인 동천리 사람들이 풍덕천리로 넘어가던 아홉 구비로 이루진 아홉사리고개 백여우 전설, 검드레산 자락 고인돌(검증 필요), 1942년 기흥구 마북동 이장으로 실전된 민영환 선생 초장지 이야기는 수차례에 걸쳐 소개하였기에 생략합니다.

 

1970년대 유통업계를 이끈 명동 코스모스 백화점 창업주인 무아(無我) 정규성(丁奎成 1909~1992) 선생 관련한 추가 글입니다. 검드레산에서 삼성쉐르빌로 하산해 별장형 전원주택 아파트인 삼성쉐르빌 정문에서 약300m 아래로 내려오면 축대위에 제법 큰 공터가 있습니다.

 

명당 묘 터로 알려져 정규성 선생을 모신 초장지였습니다. 선생 사후 사업이 기울어 코스모스 백화점 명성도 역사의 뒤안길로 살아진데 더해 이장(移葬)한 이후로는 빈터로 남아 용인과의 인연은 끝인 줄 알았는데 선생의 공덕비가 수지구 중심에 실존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초장지에서 직선 690m(실제답사 990m) 거리인 수풍소공원(풍덕천로 141, 풍덕천동 714-4)에 선생을 기리는 무아(無我) 정규성 회장(丁奎成 會長) 송덕비(頌德碑)가 있습니다. 1981년 부락 이장과 새마을 지도자를 필두로 토월마을 주민들이 합심해 세운 비석입니다.

 

비석 뒷면에는 1960년 용인군과 자매결연을 하며 상여를 기증한 이후 선생의 선행을 상세히 기록합니다. 새마을창고, 지역전기시설, 밤나무단지 조성, 공회당 건립, 다리 신축, 도로포장사업을 위한 시멘트 1600포 지원 등 물적 지원이외에 새마을 지도자 고무(鼓舞)도 포함합니다.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정규성 선생은 일본출생 재일교포로 목포에서 학교를 다녔다고 한 목소리로 전하는데 송덕비에는 인터넷 전언과 달리 전남 해남(海南) 태생으로 목포공립고등상업학교 수학이라고 명시합니다. 선생이 용인군 수지면과 인연을 맺은 사유는 적혀있지 않습니다.

 

이석순 선생의 수지향토문화답사기(2006)에 나주(羅州) 정씨(丁氏) 초암공파(草庵公派) 정태신(丁泰愼)선생이 수지 입향조(入鄕祖)라는 짧은 글이 있습니다. 정규성 선생과 나주 정씨 수지 입향조에서 수지와의 인연을 어렵게 찾아보는데 궁색한 추측일 뿐입니다.

 

선생의 행적을 더 확인해보니 송덕비 건립 2년후 신갈고등학교(기흥구 백남준로 13)를 설립하십니다. 신갈고등학교는 용인시에 있는 고등학교 중에서 개교한 지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로 태성고등학교와 함께 현존하는 용인시 유이(唯二)한 사립 고등학교입니다.

 

선생의 사후(死後) 운빨은 검드레산 초장지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시신은 이장해가고 코스모스 백화점은 롯데백하점, 신세계백화점등에 밀려 사라졌지만 기흥구에는 축구 국가대표 김보경, 김진수 선수를 배출한 사립명문 신갈고등학교 교육 사업으로 살아있습니다.

 

선생의 공덕비가 있는 수풍소공원은 매우 특이합니다. 마을이 훤히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 마을 입구에 심은 풍수림(風樹林) 느티나무들이 쭉쭉 뻣어있고 마을의 기()를 지켜주는 방풍벽이 세워져있습니다. 수지구 수풍로(樹風路) 명칭은 토월마을 풍수림에서 연원합니다.

 

충정공 민영환선생, 무아 정규성 회장이 검드레산(260.1m 간태산 금태산 신봉산)에 초장지를 쓴 이유를 풍수와 관련 있다고 생각해 검드레산 별칭을 간태산으로 부르는 사유도 풍수와 연관해서 다시 찾아보았으나 간태산 이름은 풍수와 관련이 없습니다.

 

선남선녀 합덕으로 후천 세상을 여는 속궁합이 잘 맞는 간태합덕(艮兌合德) 사상과 간태산(검드레산) 연관성으로도 착안해 내 고장 용인 지지총람(1991)’수지읍지(2002)’에서 간대산(栞坮山), 금대산(琴坮山) 기록은 찾았으나 간대산은 한자 표기가 다릅니다.

 

위의 향토지들에 나오는 간대산(栞坮山), 금태산(琴坮山) 한자 표기는 우리말 검드레산(건드레산)을 소리 나는 대로 한자를 차음한 이두(吏讀)식 표기임을 다시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검드레산이 간대산으로, 다시 격음화 과정을 거쳐 간태산, 금태산이 되었습니다.

 

검드레산(건드레산) 아래 보름달이 뜨면 달이 물을 토하는 그림자가 뜬다는 서정적 토월마을(토월리)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수지구 풍덕천1동의 근간이 되어 충정공 민영환선생과 무아 정규성 회장의 잊혀져가는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일정:

휴식시간 제외 92, 4.38km

수지고: 0.56km

아홉사리 고개

동막근린공원: 1.57km

삼성쉐르빌 정문: 3.0km

무아 정규성 초장지: 3.26km

동부 센트레빌, 삼성2차 사잇길

수풍소공원 정규성공덕비: 4.25km

 

↓ 검드레산(화살표), 아홉사리고개:

아홉사리고개 위에 동천터널:

동천터널위 동막근린공원_ 빨강화살표(검드레산 방향), 파랑화살표(아홉사리고개 옛길):

검드레산 정상으로:

검드레산(건드레산 행복언덕쉼터 신봉산 간태산 금태산): 

신봉산은 최근에 붙은 이름. 원래 이름은 검드레산:

여흥민씨사패정계(驪興閔氏賜牌定界) 표지석(화살표 위치)는 묻혀 보이지 않습니다:

검드레산 정상에서 수지성당 방향으로: 

삼성쉐르빌 방향으로:

삼성쉐르빌 정문으로 하산: 

검드레산 산록에 삼성쉐르빌:

약300m 아래 공터가 정규성 선생 초장지: 

동부 센트레빌(좌), 삼성2차(우) 사잇길:

수풍소공원 도착:

풍수림으로 심은 느티나무 군락:

풍덕천로 141:

화강암 방풍벽:

무아 정규성회장 송덕비:

부락민은 (토월마을) 부락민. 작은 글자 이원보님은 수지농협 설립자:

44년전인 1981년 11월 세운 비석:

카카오맵 경로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