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禮山旅行

禮山旅行(63): 봉산면_ 국보 예산화전리 석조사면불상

맑은공기n 2025. 5. 23. 11:34

예전부터 불당골(佛堂谷) 미륵당(彌勒堂)이라 불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대한민국 보물 제794)을 찾아 예산군에서도 외진 곳인 봉산면으로 향합니다. 신례원에서 탑승한 버스가 구만평야(구만리)를 관통해 봉산면행정복지센터에서 하차하니 마을 분위기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 7,80년대로 되돌아온 느낌으로 퇴락하는 농촌모습이 안쓰럽습니다.

 

백제시대에서 현대를 잇는 귀한 문화재인 예산 석조사면불상은 오랜 시간 방치되다 1983년에 발견되어서인지 훼손이 심각합니다. 복원을 위해 불두(佛頭)는 국립공주박물관에 보관 중이고 팔들은 모두 일탈해 몸통만 남은 상태이지만 그래도 자연석에 조각된 최초의 백제 미소로 평가받는 사면석불 세련미에서 신라까지 진출한 백제 석공(石工)의 섬세한 솜씨를 엿봅니다.

 

사방정토(四方淨土) 관장하는 약사불·아미타불·석가불·미륵불을 동서남북에 조각한 화전리 석조사면불상(花田里 石造四面佛像)은 백제시대 유일한 석조 사면불(四面佛)입니다. ‘백제 성왕이 무령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6세기 초(538~660)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예산 출생으로 민족문화 연구 외길을 걸어온 가헌(嘉軒) 최완수(崔完秀) 선생은 밝힌바 있습니다.

 

탐방을 마치고 내포(內浦) 불교문화권 통로의 하나인 봉명산로를 따라 봉산터널 까지 걷습니다. 계속 걸으면 운산 마애여래삼존상으로 이어집니다. 불교가 백제시대에 한반도에 들어와 정착한 중심임을 상징하는 유산들이 예산 화전리 사면석조불, 덕산 상가리 미륵불, 서산 운산면 마애여래삼존상으로 세 곳을 이으면 내포 불교문화권 트라이앵글을 이룹니다.

 

내포 불교문화권 트라이앵글:

 

신례원터미널에서 예산군 농어촌버스는 고덕을 경유해 봉산면행정복지센터 까지 36분이면 도착합니다. 봉산 여행만으로는 자칫 심심할 수 있으니 차로 5~6분 이웃인 고덕 연계일정을 추천합니다. 봉산면에는 행정복지센터 앞 봉산식당이 유일하나 고덕면에는 국밥, 갈빗집, 중식, 만두·김밥집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버스도 고덕 운행 편수가 더 많습니다.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주소_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 산62-3번지

신례원터미널, 봉산, 고덕 버스 시간표 하단 첨부.

예산역 앞 예산교육청 ~ 봉산 버스 소요시간. 빠른길 찾기로는 약1시간30분 표시. 실제 49.

 

일정:

10:52 신례원터미널 465번 고덕·봉산·금치리 방향버스

11:28~11:30 봉산면행정복지센터 하차/0.0km

봉산회전교차로 경유

11:38 화전리 버스정류장/0.58km

11:47~12:04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0.93km~1.43km

12:15~12:17 봉산회전교차로 회귀/2.14km

12:35~12:55 고도리 버스정류장·휴식/3.2km~3.37km

13:03~13:23 봉산터널/3.88km~5.37km

터널왕복(편도 550m)

13:53봉산면행정복지센터회귀/7.29km

14:26 459번 고덕·신례원·예산방면버스 탑승

14:32 고덕 중심 한영철외과 통과

14:59 신례원터미널 경유

15:15 예산교육청하차

 

↓예산군 봉산면 예산화전리석조사면불상 위치:

 신례원터미널:

버스는 구만리 구만평야 통과(달리는 버스에서 촬영):

기름진 들판에서 소출된 벼 9만석을 고덕면 구만포구에서 실어 날라 구만리:

고덕면행정복지센터 하차:

봉산, 덕산은 불교문화 트라이앵글 만이 아니라 학세권으로도 묶여 있습니다/덕산고 출신 승진축하 현수막:

봉산면 행정복지센터 앞 슈퍼는 전주이씨 종약원 분회:

자율방범대(좌), 봉산치안센터(우):

버스정류장에서 화전리로 이동:

봉산교차로에서 당진, 면천방면 직진:

화전리 버스정류장(금치리 방향 타고온 버스를 이곳에서 하차해도 됐었는데 화장실 들리려 앞선 봉산면행정복지센터에서 하차):

화전리 버스정류장에서 좌측 화전2길:

130m 전방 주차장(화장유) 도착:

봉황이 날아와 울은 봉명산(鳳鳴山 237m) 등산 안내도. 봉산 체류 시간이 촉박해 산행은 생략합니다. 14시15분 금치리 출발 신례원,예산방향 버스를 못타면 다음 버스는 18시35분:

석조사면불상으로:

전면 숲 속이 불당골 미륵당:

1984년 국가보물 제794호 지정:

남면_ 석가불 여래좌상:

서면_ 아미타불: 

북면_ 미륵불:

동면_ 약사불:

↓ 복원을 위해 공주박물관 보관중인 불두(사진 출처_ 예산뉴스 무한신문 20171023):

봉산회전교차로 회귀해 봉산터널로:

봉명산로에서 보는 봉명산(중앙)과 화전리 석불 위치(우측 화살표):

논써느라 바쁜 농촌:

고도리 버스정류장에서 커피 한잔 휴식:

봉명산로는 서산시 운산면과 예산군 봉산면을 잇는 불교문화 통행로입니다:

550m 길이 봉산터널:

터널 반대편으로 넘어오니 봉명산으로 이어지는 산행로가 있습니다:

터널 반대편에서 조망한 서원산, 가야산 넘어가 서산/터널에서 봉산면행정복지센터로 되돌아: 

봉산면 버스시간표. 금치리 14시15분 출발 459번 버스를 봉산면행정복지센터에서 14시26분 탑승:

고덕면 버스시간표: 고덕중심 대천리(고덕시장)과 한영철외과는 한 정류정 차이입니다:

신례원 버스시간표(신례원터미널). 신암, 고덕방면 버스가 봉산행:

신례원터미널 예산터미널 방향:

합덕방면 신례원 버스시간표:

禮山旅行(61): 고덕 재물봉 · 배나드리 성지 복자 인언민 초장지

 

禮山旅行(61): 고덕 재물봉 · 배나드리 성지 복자 인언민 초장지

바다가 육지 안으로 울퉁불퉁 들어간 충남의 서부지역인 예산, 홍성, 당진, 서산, 아산 지역을 아울러 내포(內浦)라 이룹니다, 그 중에도 예산은 삽교천을 끼고 너른 들판이 있어 식(食)이 풍족해

kwnah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