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천읍 수부리 잔미산에는 사연이 많습니다. 잔미산록에 잠든 대학친구 고김명기군, 그리고 4년 전 여름, 높이 417m 잔미산 만만하게 보고 산행하다 탈진 직전까지 간 고교친구 박윤식 목사와의 무모했던 사연.
대학 2학년인 1968년 겨울방학, 명기가 웅천 자기 집에 가자고 해서 따라 나섰습니다. 웅천 부당마을 수부3리 명기 집에 도착한 다음날 절 구경시켜준다고 아침 일찍 출발했습니다. 동네 가까운 절이려니 했는데 걷고 또 걷고 재 넘어 간 곳이 부여 외산면 무량사(無量寺)였습니다.
생육신 한분인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1435~1493)선생이 입적한 곳이라는 김명기군의 한마디에 경외감과 신비한 기분이 들어 삼십리 넘게 걸어온 피로가 풀리는 느낌이었습니다. 명기 덕분에 53년 만에 다시 찾은 만수산(萬壽山) 무량사는 천년 고찰의 아우라가 넘칩니다.
괘불 시초 ‘부여 무량사 미륵불화’ 국보 된다
길이 14m에 이르는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掛佛圖)’가 국보로 지정된다. 국가유산청은 “괘불(掛佛)의 시초격 작품으로 여겨지는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보물에서 승격해 국보
v.daum.net
일정: 자차 이동
10:06 무량사 주차장
10:08 매표소(경로 무료)/0.05km
10:11~10:17 김시습 부도(산행 시작점)/0.3km~0.39km
10:41 무량사·장군봉 갈림/1.22km
11:02~11:12 장군봉·조루봉 갈림/1.91km~1.93km
11:31~11:46 만수산(498.7m)/2.61km~2.66km
12:16~12:24 무량사·장군봉 갈림 회귀/3.88km~3.89km
12:45 김시습 부도 회귀·무량사탐방/4.75km
13:18 주차장 회귀/6.08km
무량사 주차장: 대형 주차장 구비(무료)
대중교통: 버스
웅천터미널 ~ (수부리 경유) ~ 외산 약45분
부여 ~ 외산 약52분
→ 외산~무량사 약2km 도보
↓ 잔미산:
수부3리 웅천행 버스 시간표:
먼저 세상떠난 친구! 편히 잠드세요!
무량사 초입 무량마을은 한국의 살기좋은 33곳 하나:
무량마을 장승(벅수):
장승 옆 추모비와 현감 공덕비:
부여군으로 개편전에는 홍산현(鴻山縣):
무량사 입구 화살표 방향 vs 만수산(498.7m):
만수산 제1봉은 무량사 뒤 조루봉(575m):
통일 신라때 창건한 무량사:
매표소에서 100m 올라와 좌측 다리 건너:
다리 건너 등산 입구(김시습 부도)와 무량사 갈림:
김시습 부도:
오세 신동이라 호가 오세:
매월당 김시습은 성종 24년 무량사에서 일생 마쳐:
김시습 부도 우측에서 산행 시작:
장시간 운전으로 피곤해 만수산을 목표(방점):
무량사에서 0.7km 올라와:
쉼터입니다:
조루봉, (만수산 방향)장군봉 갈림길:
만수산, 장군봉 가는 길:
만수산(498.7봉) 보며 갑니다:
우측으로는 성주산 조망:
만수산(498.7봉) 도착:
장군봉 0.8km, 조루봉 3.2km 이정표:
무량사와 무량마을 조망:
김시습 부도로 회귀해 무량사 탐방 시작:
천왕문 우측 당간지주:
김시습 초상 영정각 위치:
석등, 오층석탑:
극락전 내부는 사월 초파일 준비로 분주:
영정각:
깊숙히 자리잡은 삼성각:
경로:
'산행여행 > 湖西旅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湖西여행(34): 웅천읍 수부국민학교 (2) | 2025.03.22 |
---|---|
湖西여행(33): 보령호 양각산 (2) | 2023.02.22 |
湖西여행(31): 웅천읍 역사의 향기 · 돌문화공원 화락산 (0) | 2019.04.20 |
湖西여행(30): 웅천역 · 웅천버스터미널 버스 시간표 (0) | 2019.04.15 |
湖西여행(29): 대청호 직동 찬샘마을 노고산성 (0) | 2019.03.02 |